이동 삭제 역사 ACL 공명전 리파인 (r2 문단 편집) [오류!] 편집기 RAW 편집 미리보기 굵게기울임취소선링크파일각주틀 === 우군의 존재 === 많은 전투에서 조종 가능한 우군이 등장한다. ~~막상 어려운 전투에서는 잘 안나오지만~~ 이를 통해 15명의 한계를 넘어 더 많은 부대를 조종할 수 있게 된다. 방통을 제외하면 원본에선 자주 버려지던(...) 장수들이 우군으로 등장한다. 버프나 ~~장합에게 바칠 제물~~[* 주로 진도가 쓰인다. 장익과 같은 창병이라 견고걸어주면 꽤 잘버틴다.] 고기방패용으로 유용하게 쓸 수 있다. 다만 방통을 제외하면 인수나 열매 등의 효과는 한 전투가 끝나면 자동으로 사라지므로, 급한 상황이 아니라면 사용을 자제하자. * 주요 우군 * '''[[방통]]'''(군사계) - 2회차부터 기용 가능. 형주 남부 전투 이후, '''사태를 관망한다''' 를 선택하면 진행 가능한 파서 전투를 14턴 이내로 클리어 한후, 면죽 가맹관 전투에서 아직 살아있는 방통을 살린 채로 전투를 종료하면 된다. 방통은 다른 우군들과 달리 출진창에서 아군의 장비를 장착해 줄 수 있으며, 인수, 열매, 공훈 등의 효과가 그대로 유지된다. * '''[[진도(삼국지)|진도]]'''(창병) - 형주 남부 전투[* 콘솔판에선 파서 전투였다.]에서 조운으로 일기토(대화)시 전투 종료 후 우군 참전 * '''[[진식]]'''(맹수대) - 면죽, 가맹관 전투에서 유비로 일기토(대화)시 전투 종료 후 우군 참전 * '''[[이회(삼국지)|이회]]'''(군악대) - 진식과 동일 * '''[[고상]]'''(수송대) - 진식과 동일 * '''양란'''(전차대) - 서평관 전투에서 강유와 일기토 후 전투 클리어. 남만 평정때 도엽강 전투에서 마초를 살린 경우에는 서평관 전투 없이 자동으로 우군으로 합류. 특이하게 다른 우군들과 달리 보물인 질풍마차를 계속 장비하고 나타난다. * '''[[조광]]'''(창병) - 백제성 전투 이후 우군으로 합류 * '''[[조통]]'''(창병) - 조광과 동일 * 기타 우군 - 일시적으로 합류한다. * 1장 - [[유비(삼국지)|유비]], [[관우]], [[장비(삼국지)|장비]], [[관평]], [[주창]], [[미축]], [[손건]], [[미방]], [[유봉]], [[황충]], (2회차 방통 생존 루트시)[[엄안]] - 관우, 장비, 황충은 방통 생존 루트시 맥성에서 관우를 살리면 양평관전투까지 등장한다. * 2장 - [[고정]], [[양봉(삼국지)#s-2|양봉]] - 고정은 익주남부전투에서, 양봉은 독룡동전투에서 제갈량으로 접촉하면 항복하고 남만평정 동안 우군으로 활동한다. * 4장 - (공명의 반란 루트시)유봉 * 종장 - [[맹우]], [[하후패]], [[하후위]], [[하후혜]], [[하후화]], (각각 생존시)유봉, 관평 * 삼국최종결전 - 유비, 관우, 장비 맥성전투의 [[왕보]], 삼국최종결전의 [[사마휘]]는 조작 불가능 우군으로만 등장한다. 우군은 공훈이나 열매를 통해 능력치가 오르지는 않지만 아군 레벨에 맞춰서 레벨이 올라가 있으며, 지옥모드에서는 적들의 열전 능력치가 올라간 만큼 우군들의 열전 능력치도 보정되어 있다. 방통을 살렸을 경우 선택지가 하나 더 등장하는 경우도 많고 전투 시나리오 자체가 변화(가정 전투, 위수 전투 등)하기도 한다. 하지만 스토리 자체는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정에서 승리하고 농서 일대를 차지한다 해도 여전히 다음 목표는 진창이다. im preview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함으로써, 사용자는 본인이 기여한 콘텐츠가 CC BY-NC-SA 2.0 KR에 따라 배포되며,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저작자 표시를 하이퍼링크나 URL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에 동의합니다. 또한, 이 동의는 기여한 콘텐츠가 저장되고 배포된 이후에는 철회할 수 없음을 명확히 이해하고 동의합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3.144.40.238)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